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SIMD(single intsturction multi data)

SIMD란 ?
이전에 알아 보아야 하는 것이 바로 SISD이라는 방식이다. 원래 컴퓨터는 OP라는 연산을 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피연산자와 연산 결과를 가지다. 이것이 SISD(single instruction single data)라는 것이다. 덧셈을 예를 들자면 
a + b = c 라는 연산을 +라는 하나의 명령어를 통해서 얻어내는 것이다.
하지만 SIMD(Single instruction multi data)는 같은 연산 여러 개를 한번에 진행 하는것이다.
따라서 CPU명령어에 따라서 덧셈을 명령으로 2개 이상 할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 같은 연산이 필요한 선형대수에서 컴퓨팅 성능을 끌어 올려낼수 있다.

대표적으로 intel의 SSE명령어 셋이 있고 다른 회사에서 만들어 내는 것도 있다. 
따라서 각 회사에서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각각의 컴퓨터 아키텍쳐 마다 따로 코드를 짜줘야 한다.
그래서 LLVM등에서는 중간코드를 생성하고 이것을 해석하는 경우 VM에서 각 아키텍쳐에 맞는 SIMD로 변경 해준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대수학 - 직선의 방정식,기울기 , 수평, 법선

직선의 방정식  f(x) = x 6 + 3   다음 직선은 기울기(m)이 1이고 y 절편이 3인 직선이다. 직선의 방정식 m은 직선의 기울기 d는 y절편 x 절편 : y 값이 0 일때 x의 값 y 절편 : x 값이 0 일때 y의 값 ex) y = 3x +6 y 절편 put : x <- 0 y = 3 * 0 + 6 = 6 y = 6 6 y 절편 = 6 x 절편 put : y <- 0 0 = 3x + 6  -6 = 3x  , 이항 -6 / 3 = 3x/ 3  -2 = x  x = -2  x 절편 : -2  기울기를 구하는 법  기울기의 정의 기울기의 정의는 y축의 변화량을 x축의 변화량으로 나눈것이다. 따라서 이직선의 기울기를 구해보자 이렇게 2점이 주어진 경우에 기울기를 구할수 있다. dx = x2 - x1 dy = y2 - y1 따라서 m = (x2 - x1) / (y2 -  y1) 두 직선이 수평이기 위한 조건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다 두 직선이 수직이기 위한 조건  즉 법선이기 위한 조건

미적분 - 극한

오늘 포스팅에서는 2주차 미적분강의에 대하여 리뷰를 해보겠습니다. 미적분이란  도함수를 구하는 것이다. 도함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극한이라는 것이 사용된다. 식1-1 고등학교 3학년 시간에 많이 본 기호이다. 식 1-1은 x가 a에 한없이 가까워 질때 함수 f(x)의 값을 나타낸다. EX) 예제 1-1 여기에서 답은 3이지만 정확히는 3에 가까워 진다라는 의미이다. 예제 1-2 기분나쁘게 생겼지만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풀수 있다. 한없이 작아지는 경우  x-> 0 => x 값이 0은 아니지만 점점 작아지고 있다. 한번 1/ x^2의 그래프를 그려보자 가로축이 x이다 x가 0에  가까워 지면 함수의 값이 무한이 커진다. 이렇게 표기한다. 무한대는 상수가 아닌 커지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반대로 한없이 작아지는 경우도 있다. 위에 있는 두가지 경우( 무한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상태)를 발산한다고 한다. 반대로 아까의 예제 처럼 어떤한 수에 가까워 지는 경우를 수렴한다고 한다. 위에 식에서는 함수 f(x)가 L에 수렴한다. 라고 표현한다. 우극한과 좌극한     좌극한은 좌측에서 값에 다가가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작은 값에서 점점 커지면서 a에 접근한다. 우극한은 좌극한의 반대로 우측에서 다다가는 것을 의미한다. 즉 큰 값에서 작아지면서 a에 접근한다. 좌극한과 우극한의 값이 다른 캐이스 좌극한의 경우 x가 음수이기 때문에 분자의 절댓값 x는 양수 이지만 분모의 x는 음수이다. 그래서 음수 값이 된다. (양수/음수 = 음수) 이렇게  우극한과 좌극한이 다른 경우가 있다. 극한이 존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극한 값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좌극한의 값과 우극한의 값이 같아야 한다.

미적분 - 함수의 연속

함수의 연속 끊어지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함수를 연속함수 라고 한다. 3가지 조건이 있는데 1. 함수 f(a) 값이 존재 한다. 2. 극한의 값이 존재한다. 3. a에서 함수값과 극한값이 같아야 한다. EX) 1. f(x) = 3x^5 풀이 : a는 임의의 실수 f(a) = 3a^5 임으로 ※함수 f(x)는 구간 ( -inf , inf)에서 연속이다. 2. f(x) = 3/x-2 풀이 : a는 임의의 실수 f(a) = 3/a-2 이지만 x의 값이 2인경우 함수의 값이 없다. x = 2인 경우 불연속이고 다른 값에서는 연속이다. 3. x가 4가 아닌 모든 실수에서는 연속이지만 x가 4인경우 함수값과 극한 값이 다르기 때문에 불연속이다.